1월 촬영 요청 리스트
- TongRo Images

- 1시간 전
- 3분 분량
1월은 새해가 시작되며 이미지 수요가 급증하는 시기입니다. 2026년 트렌드를 미리 반영한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요구도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고객 요청과 최신 흐름을 반영한 촬영 요청 리스트를 소개합니다.
[신년, 새해 맞이: 새로운 시작과 희망]
신년 시즌 이미지는 연하장, 이벤트, 광고 등에서 사용될 새해 인사와 희망찬 시작을 담은 콘텐츠 수요가 가장 높습니다. 새로운 해의 설렘과 기대감을 담아주세요.
핵심 키워드: 2026년, 병오년(붉은 말의 해), 새해, 신년 목표, 희망, 청소, 새로운 계획
기획포인트:
떡국과 명절 음식이 정갈하게 세팅된 탑뷰(Top View).
노트나 태블릿에 새해 목표를 작성하는 모습.
요가, 헬스 등 운동을 시작하는 장면.
독서, 온라인 강의 등 자기 계발 장면.
깔끔하게 정리된 집이나 책상 등 '새로운 시작'을 상징하는 라이프스타일 컷.
'2026',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등의 문구를 오브젝트와 함께 촬영하여, 후반 작업 시 합성하기 좋게 구성해 주세요.
[직업군별 이미지: 전문성과 다양성]
다양한 산업 분야의 전문성을 표현하는 이미지는 마케팅, 공공기관, 채용 공고 등에서 꾸준히 활용되는 스테디셀러입니다. 미래 유망 직업군을 반영하여 ‘미래 지향적’이면서도 ‘현실적인’ 분위기를 담아 실제 상황에 가까운 이미지를 연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직업군
임상영양사: 식단 체크, 칼로리 분석(식재료와 함께), 조리실 점검(위생복, 장갑활용), 태블릿·AI 활용 영양 분석, 스마트 센서로 식재료 품질 확인
상담사 (의료, 심리, 교육분야) : 환자와의 상담 장면, 문진표 작성(템플릿 소품), 원격 상담, 스마트 기기와 검사 장면
요양보호사 : 어르신 이동·식사·위생 도움, 로봇 보조 이용
인테리어 디자이너: 도면 검토, 카페,주택,오피스 등 현장 체크, 자재,컬러 샘플 비교, AR/VR을 통한 공간 시각화, 스마트 장비 활용
AI 개발자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코드 리뷰, 팀 협업, AI 어시스턴트 활용
스마트 카페·리테일 매니저 : 고객 응대, 상품 진열 및 정리, 모바일·테이블 오더 관리, 스마트 재고 관리
촬영 팁
유니폼, 장비, 디바이스 등 직업별 소품을 실제 환경처럼 구성
표정·자세·동작을 현실 업무처럼 자연스럽게 연출
배경은 실제 업무 공간에 가까운 장소 선호
[서울 프로젝트: 서울의 새로운 시대를 기록하다]
지금의 서울은 K-컬처가 절정에 이르고 AI와 스마트 인프라가 일상에 깊숙이 자리하며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전통과 혁신이 교차하는 이 시기, 서울의 역동적인 모습을 기록하는 일은 단순한 사진을 넘어 시대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이 됩니다.
1월의 서울 프로젝트 테마는 '서울의 과거와 미래, 극적인 대비'입니다. 일반적인 관광 명소를 넘어, 서울의 진정한 뉴트로(New-tro) 감성과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을 담아 시장에서 주목받을 만한 독특하고 깊이 있는 이미지를 확보하고자 합니다.
1. 힙지로 : 네온과 레트로의 교차로
을지로 뒷골목, 일명 '힙지로'는 산업 시설 속에 숨어있는 트렌디한 바, 카페, 음식점들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이곳에서는 서울의 산업적인 과거와 젊은 세대의 트렌드가 공존하는 모습을 포착해야 합니다.
촬영 요청 포인트
디테일 클로즈업 강조: 복잡한 골목 안에서 낡은 인쇄소 기계, 손때 묻은 공구, 철물점 오브제 등을 클로즈업하여 빈티지하고 산업적인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한 장면에 요소를 과하게 넣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요소가 많아지면 주제가 흐려지고 상업적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공존의 미학: 낡은 인쇄소 골목에 자리한 세련된 간판이나 네온사인으로 극명한 대비를 강조합니다. (특정 간판을 집중해서 담기보다는 네온사인의 분위기가 담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벽에 반사된 네온 불빛이나 빛의 효과를 살려보세요)
시간대 활용: 해 질 녘, 어두워지기 전 분위기와 막 켜지기 시작한 불빛들과 함께 담아 드라마틱한 분위기를 연출해 보세요.
2. 성수동: 산업의 흔적과 트렌디한 미래의 공존
오래된 수제화 공장, 인쇄소, 정미소 등 산업 시설이 대형 복합 문화 공간이나 개성 있는 부티크 편집숍, 카페로 탈바꿈한 성수동은 서울의 '재생'과 '변화'를 상징합니다. 낡은 벽돌 건물과 그 속에 스며든 젊은 세대의 트렌디한 라이프스타일, 그리고 도시의 혈관인 지하철 시스템이 공존하는 분위기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촬영 요청 포인트
거리의 질감 강조: 보도블록, 낡은 담벼락, 전선 등 거리 전체를 구성하는 산업 단지 특유의 투박하고 거친 질감을 클로즈업하여 담아냅니다. 특정 건물보다는 주변 환경 자체가 풍기는 과거의 분위기에 집중합니다.
트렌디한 인물의 움직임: 세련되게 옷을 입은 젊은 인물이 낡은 배경을 빠르게 통과하거나 걷는 모습을 포착합니다. 과거의 배경과 미래 지향적인 인물의 움직임 대비를 강조합니다. (인물은 뒷모습이나 측면으로 처리하여 식별 불가능하게 유지)
도시의 흐름 포착: 2호선 지하철 고가 철로나 다리 아래를 지나는 차량과 사람들의 빠른 움직임을 슬로우 셔터(Slow Shutter) 등을 활용하여 포착합니다. 정적인 과거의 배경과 대비되는 역동적인 도시의 흐름을 강조합니다.
색감 대비: 어둡고 차분한 벽돌색이나 녹슨 철의 색감과 대비되는, 트렌디한 가게에서 나오는 선명한 네온빛이나 모바일 기기의 밝은 화면의 색감을 대비시켜 공간의 '공존'을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촬영 시 주의사항>
주택 밀집 지역에서는 인물의 얼굴 정면, 특정 주택의 현관·내부가 식별되는 앵글을 반드시 피해야합니다.
골목 전경 촬영 시에도 인물 식별이 가능한 얼굴 노출은 금지하며, 가능하면 사람이 없는 순간을 촬영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인물 제거 기법: 사람이 많은 장소에서는 삼각대를 사용해 동일 구도로 여러 장 촬영 후, 후보정에서 레이어 합성으로 이동 인물을 제거해 깨끗한 배경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제출 시 주의사항>
인물 노출 최소화
상업적 사용을 위해서는 모델 동의서(Model Release)가 없는 한, 인물이 식별 가능한 형태로 포함되면 제출할 수 없습니다. 군중 촬영 시 많은 사람이 있는 경우, 배경의 일부처럼 인물이 작게 나오거나, 흐릿하게 처리되어 개인이 식별 불가능한 수준이어야 합니다.
재산권 동의서(Property Release) 확보
간판, 건물, 상호 등이 명확히 보이는 경우소유주로부터 상업적 이용 허락을 받은 재산권 동의서를 받아 함께 제출해주세요.
재산권 관련 처리
동의서 확보가 어려운 경우 간판·전화번호·로고·브랜드 마크 등을 자연스러운 흐림(Blur),삭제 또는 모자이크 처리하거나 Cafe / Store / Shop 등 일반 단어로 대체하여 식별이 불가능하도록 처리해야 합니다.단, 후보정이 사진의 분위기를 해치지 않도록 자연스럽게 작업해 주세요.
이미지를 업로드 할 때는 반드시 지명을 입력해 주세요.



































댓글